플랫폼 비즈니스와 블록체인
Last updated
Last updated
Single-Side 밸류체인 구조의 기존 전통 비즈니스와는 달리 스마트 모빌리티는 둘 이상의 상호 종속적인 그룹이 참여해 각 그룹이 얻고자 하는 가치를 거래를 통해 교환할 수 있도록 구축된 환경을 구축하여 참여자들의 연결과 상호작용을 통해 새로운 가치를 창출한다는 점에서 플랫폼 비즈니스의 영역이라고 할 수 있다.
플랫폼 비즈니스 모델은 메칼프의 법칙(네트워크의 가치는 사용자 수의 제곱에 비례한다는 이론)을 따르는데 그러다보니 막대한 자본력을 갖춘 대기업들이 초기 대규모 적자를 감수하면서라도 일단 사람들을 모은 뒤에 규모의 경제를 통해 후발주자들의 진입장벽을 만드는 방식으로 시장이 형성되는 방식을 따른다.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와 유사하게 초기에는 사용자들의 니즈를 반영하며 무료로 고품질의 서비스를 제공하며 계속해서 커뮤니티의 규모를 키우고 사용자들의 플랫폼 충성도를 높이는 데에만 집중한다.
결과적으로 플랫폼에 대한 충성도가 생긴 사용자들은 자신들의 편의를 위해 플랫폼 운영사에 자신들의 개인정보(또는 개인정보를 열람할 권한)를 기꺼이 제공하고, 공급자들은 사용자들이 제공한 정보에 접근하기 위해 수수료를 지불하게 되므로 플랫폼 운영사는 참여자들의 상호작용을 연결해주기만 하고 중개 수수료를 통해 막대한 수익을 얻게 된다.
기초 인프라 구축 및 사용자 확보에는 많은 시간과 자본이 투입되어야 하고, 고품질의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막대한 중개 수수료 수입을 얻는 구조가 잘못되었다고 비판할 수는 없다. 그러나, 특정 한 국가라는 테두리 안에서 운영되는 스마트 모빌리티 플랫폼의 네트워크 효과는 한정적일 수밖에 없는데 반해 실시간 모빌리티 등록·사용 정보, 정밀도로지도, 사용자들의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보관하는 스토리지 비용 및 R&D 비용은 계속해서 증가하기 때문에 현재와 같은 방식의 플랫폼 비즈니스를 지속가능하게 하는 대안이 필요하다.
블록체인 기술은 다음과 같이 인프라 구축의 비용효율성, 서비스의 통합 및 다양화 가능성, 글로벌 시장 도달 가능성, 분산 스토리지 네트워크를 활용한 보안 및 개인 정보 보호 등 기존 스마트 모빌리티 산업이 당면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효과적인 대안이 될 수 있다.
Requires huge capital to build the platform
Network effect
Barriers to entry for latecomers
The winner-take-all problem
An open network infrastructure that anyone can participate in is established
Anyone can become a high-quality service provider by utilizing a public blockchain network
Increased reliance on dominant leader platform providers
Moral hazard of platform providers
It is possible to build a trustless environment in a decentralized way in which platform participants cannot depend on a centralized entity
Utilizing token-based governance, anyone can propose improvements to the protocol
Has a highly localized character, concentrated in a specific region or country
Practically impossible to increase the number of base users, and it is difficult to grow into a global service
Anyone in the world can user it, regardless of which country they live in or which fiat currency they use
Through cryptocurrency (token), it is possible to pay incentive reward to participants, pay service fees, and reach the global market
Ongoing increase in data storage costs
Personal information hacking problem of platform operator DB (single point of failure)
Leakage of user (customer) personal information
Data can be safely stored with a high level of security by using encryption technology on decentralized nodes
Using DSNs such as Arweave, Storj, Greenfield
다음 장에서는 글로벌 개방형 네트워크인 퍼블릭 블록체인의 인프라를 활용하여 현재 스마트 모빌리티 산업의 플랫폼 비즈니스 아키텍처를 개선하고, 지속가능한 방식으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참여자들을 위한 분산형 프로토콜 휙 서클 레이어(Hwik Circle Layer)에 대해서 설명한다.